우울증

정의
우울증
우울증은 흔히 ‘마음의 감기’라고 하지요. 마치 감기처럼 흔한 병이라는 것을 말합니다. 여자들은 평생 10~25%, 남자들은 평생 5~12%가 적어도 한번은 우울증에 걸립니다. 그러나 우울증을 병이라 인식하고 치료를 받는 사람은 약 10%정도 밖에 안됩니다.
원인
생물학적 원인
우울증은 뇌의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습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 약물을 이용하는데 약물은 이러한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함으로서 우리의 우울한 기분을 바꿔주게 됩니다.
유전적 원인
우울증이 있는 부모나 형제, 친척이 있다면 우울증에 걸릴 확률은 일반인에 비해 약간 높게 나타납니다. 그러나 병자체가 유전되는 것이 아니라 유전인자를 갖게 되는 것이므로 우울증 환자 가족 모두가 우울증에 걸리는 것은 아닙니다.
생활사건 및 환경적 스트레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이별, 외로움, 실직, 경제적인 걱정과 같은 생활 사건들이 우울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신체질환
갑상선질환, 뇌졸중, 고혈압, 암, 당뇨병 등의 질환은 우울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와는 반대로 우울증이 신체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종류
주요우울증
우울한 기분이나 흥부 상실 등과 같은 우울증 증상들이 2주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여러 가지 우울한 증상을 동반하는 빅적 심한 우울증을 말합니다.
기분 부전 장애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정도가 다소 가볍습니다. 대부분 3년 이상 우울한 기분과 자존심 저하, 죄책감, 결정내리는 데 있어 어려움, 우유부단함, 장래에 대한 비관 등 여러 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을 겨우 해 나가는 것이 특징입니다.
양극성 장애
조울증을 다른 말로 양극성 장애라고 합니다. 설명하자면 우울한 기분이 지속되는 우울증과 그와 반대로 흥분되고 말과 행동이 증가하는 조증이 반족되는 것을 말합니다.
생애주기별 우울증상
청소년기 우울증
청소년의 2~3%가 우울증을 앓습니다. 청소년 우울증은 어른이 되어서도 우울증을 앓거나 다른 정신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성격적인 문제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조기에 치료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최근에는 왕따 문화의 성행으로 자살 함께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산후 우울증
분만 3~5일 사이에 많은 산모들은 눈물이 나고, 화가 나며, 슬프며, 불안한 감정 상태를 경험하게 됩니다. 불면증이 생기거나 불안정한 감정을 느끼기도 하는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산후에 생기는 우울증입니다.
갱년기 우울증
폐경기 전후로 한 40~50대 주무에게서 주로 발생하며 초조하고 안절부절 못하며 건강에 대한 염려가 많아지고 후회, 책임감, 절망감, 의심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노년기 우울증
낮은 사회, 경제상태, 배우자 상실, 동반되는 신체질환 및 사회적 고립이 있습니다. 할머니, 할아버지들을 보면 ‘여기 아프다. 저기 아프다’하시며 우울하다는 감정표현보다는 신체증상을 더 많이 소호하시는데 우울증의 가능성을 항상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증상
  • 우울, 불안 공허감이 지속됩니다.
  • 절망적인 느낌을 느낍니다.
  • 죄책감, 무가치 혹은 무기력합니다.
  • 성생활을 포함하여 즐거웠던 일이나 취미생활에서 의욕 및 흥미가 없어집니다.
  • 불면 혹은 아침에 일찍 깨거나 과다한 수면을 합니다.
  • 식욕 감소나 체중 감소, 과식이나 체중 증가가 있습니다.
  • 힘이 없고 피로하며 몸이 처집니다.
  • 초조하고 쉽게 짜증이 나기도 합니다.
  • 집중력 및 기억력 저하, 의사 결정을 하는데 어려워합니다.
  • 두통, 소화기 장애, 만성 통증 등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고 신체증상이 지속됩니다.
  • 학업이나 직장생활에서의 실패를 가져옵니다.
  • 알코올이나 약물에 의존하게 되어 신체질환이 약화됩니다.
  • 죽음이나 자살에 대한 생각을 하기도 하고 실제로 자살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치료
약물치료
항우울제를 통한 약물치료는 우울증의 정도와 기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킵니다. 주요 우울증 환장 중 70~80%정도는 항우울제의 치료만으로도 증상의 호전을 가져옵니다.
정신치료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 긴장감소, 원활한 대인관계, 사회적응을 위해 정신치료가 필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 지지적 정신치료 : 환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전문가 면담을 통해서 조언이나 격려 등을 제공합니다.
  • 인지치료 : 사진과 사회에 대한 부정적이고 비합리적인 생각을 버리고 긍정적이고 합리적인 생각으로 바꾸도록 도와 힘든 문제를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도록 합니다.
  • 대인관계치료 : 대인관계의 어려움이 우울증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보고 이를 해결하여 우울증을 치료하고자 하는 것으로 주의 사람들과 잘 지내도록 하는데 초점을 둡니다. 대표적인 치료방법으로는 사회기술훈련과 대화기술훈련이 있습니다.
  • 집단치료 : 여러 명이 함께 모여 치료하는 방식으로 참여한 사람들이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정서적으로 지지 하고 격려합니다.